극단 하땅세, ‘2025 아시안 아츠 어워드’에서 ‘우수 프로덕션상(Production-Highly Commended)’ 수상! 한국 창작극, 글로벌 무대서 예술성 입증!

극단 하땅세가 세계 최대 공연예술 축제인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열린 ‘2025 아시안 아츠 어워드’에서 ‘우수 프로덕션상(Production-Highly Commended)’을 수상했다.
아시안 아츠 어워드는 프린지에 참가하는 아시아 지역 공연 작품 가운데 예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은 작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매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선정된다.
극단 하땅세는 2014년 한국팀 최초로 같은 어워드에서 수상한 데 이어 2025년 다시 수상의 영예를 안으며 한국 창작극의 예술성과 국제적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수상작 ‘시간을 칠하는 사람’(The Time Painter)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과 극단 하땅세가 공동 제작하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재단(ACCF)이 유통한 작품이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여성의 삶과 기억, 치유를 다룬 이 작품은 2020년 초연 이후 광주와 서울 무대를 거쳐 2025년 7월 31일부터 8월 24일까지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공식 참가했다.
이번 에든버러 공연에서는 조지스퀘어 가든 스튜디오3의 독특한 강의실 공간에 맞춰 재창작해 선보였다. 강의실 테이블과 밀폐된 구조를 적극 활용한 연출은 시각적·청각적 요소와 결합해 관객에게 높은 몰입감을 선사했다.
현지 평론가들은 작품의 예술적 성취에 주목했다. Edinburgh Guide Press는 ‘배우들이 사물과 공간을 단순한 상징 이상의 것으로 생생하게 불러내는 능력이 인상적이었다.
무대 위 에너지는 관객과 강하게 연결되며, 웃음과 기쁨이 어두운 기억 속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졌다’고 평가했다.
이어 ‘역사는 과거에 있지만 우리는 현재를 살며, 전 세계적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현실과 마주한다. ‘시간을 칠하는 사람’은 그 인식을 우리에게 섬세하게 남겨준다’고 덧붙였다.

The Sunday National은 ‘‘시간을 칠하는 사람’은 희생된 이들을 향한 소박하면서도 감동적인 헌사’라며 작품의 진정성을 높이 평가했다.
관객들의 반응 또한 뜨거웠다. 한 관객은 ‘공연이 끝난 후에도 떠나고 싶지 않았다. 배우들의 놀라운 연기와 감정의 변화를 따라가며,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히 몰입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객은 ‘종이와 사과, 여섯 명의 배우를 통해 한 여자의 삶을 그린 이 공연은 언어의 장벽을 넘어 강렬한 감동을 전달했다.
코믹한 장면은 탁월한 타이밍으로 웃음을 주고, 진지한 장면은 시적이었다. 너무 감동적이었고, 두 번째 관람 또한 여전히 즐거웠다’고 소감을 밝혔다.

극단 하땅세는 이번 수상을 통해 한국 공연예술의 예술적 성취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았음을 확인했다며, 특히 우리의 아픈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이 국경과 언어를 넘어 공감을 이끌어낸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극단 하땅세는 앞으로도 관객과 깊이 소통할 수 있는 작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한국 공연예술의 국제적 위상 제고를 위한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사진=하땅세 제공]